1. SSL 디지털 인증서 란?
SSL 인증서(디지털 인증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제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다.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 직후에
그 서버는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게 인증서 정보를 전달을 합니다.
그러면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는 그 인증서 정보가
그 인증서를 보고 인증서를 자신에게 돌려준 웹서버가
자신이 접속하려고 했던 진짜 웹서버인지를 확인하려는 것과 같은 절차를 통해서,
상호간에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겁니다.
디지털 인증서는 마치 공증가 같은 역할을 해줍니다.
- SSL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하면 장점들 -
- 통신 내용이 공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려는 서버가 신뢰 할 수 있는 서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 통신 내용의 악의적인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내용을 공격자에게로부터 막기위해서 필요한 것은?
"암호화"
2. 암호화, 복호화
- 대칭키 설명:
"암호화를 하는 쪽"과 "복호화를 하는 쪽"은 동일한 키를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의미에서 "대칭키"
3. openssl
openssl을 이용해서
어떤 문서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openssl을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진행과정 | 설명 |
plaintext.txt 파일을 만듬. | |
|
이렇게 되면, 암호화가 된, 파일(ciphertext.bin)이 만들어 집니다. |
ls -al 해서 확인 합니다. (plaintext.txt <- 원보 파일 ciphertext.bin <- 원보 파일을 암호화한 파일) |
|
그런 다음에 cat ciphertext.bin을 해서 안에 내용을 보면 이상하게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SSL 그림으로 이해 ★ (0) | 2020.07.30 |
---|---|
[네트워크] HTTPS와 SSL 인증서 - 3."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하고 복호화하기 ★ (0) | 2020.07.29 |
[네트워크] HTTPS와 SSL 인증서 - 1.개념 설명 ★ (0) | 2020.07.28 |
[네트워크] 현재 컴퓨터 ip 알아내는거, 포트포워딩 하는거, 네임서버 (0) | 2020.07.28 |
[네트워크] 집에서 웹서버 운영하기(개념 설명)-2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