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 업체 중 하나인 cafe24
목록들 중에
1. 여기서 그나마 사용하는거
웹호스팅, 도메인센터 목록들만 그나마 사용함.
왜냐하면,
"도메인"을 구매하고, 이것을
"웹호스팅"에 연결을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일단은,
"웹호스팅"을 사용하게 된다면,
기본적으로 호스팅업체에서 "도메인"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직접 도메인을 연결하는 부분은 이후에 진행되도 상관없기 없습니다.
2. "웹호스팅"에 집중해서 구현하겠습니다
일단, 여기에 여러가지 상품들이 있습니다.
(리눅스 웹호스팅, "리눅스 호스팅" 같은 이름이 적혀 있는 것들을 사용하면 됩니다)
밑에 "64bit광호스팅"이라는 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리눅스 호스팅"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64bit광호스팅" 클릭 후,
하드용량 | 여러분들이 어떤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때, 어느정도의 용량까지를 제공하는가에 대한겁니다. 예를 들어, 400M이면, 소스코드를 400M까지를 저장할 수 있다라는 겁니다. |
트래픽용량 | 여러분들이 데이터를 서비스 할꺼잖아요, 웹서비스를 하게 된다고 한다면, 자바스크립트파일도 있을 꺼고, 이미지 파일도 있을 꺼고, HTML파일도 있을 꺼고, 등등 이것들을 1.4G까지 데일리로 서비스를 할 수 있다라는 것입니다. |
MySQL DB | MySQL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 합니다 |
도메인 추가연결 | 도메인을 연결하는데, 몇개를 지원하는지를 보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웹호스팅 계정하나당 도메인을 하나정도 사용합니다. |
설치비 | 예를 들어, 5000원 이라고 한다면, 기본적으로 내야한다는게 5000원이라는 것입니다. |
월 사용료 | 월 단위로 500원씩 지출한다는 겁니다. |
진행 다하고..........------>
4.
도메인을 아직 구매를 안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무료 도메인"을 사용하겠다고 셋팅을 해놓습니다...
결제.... 후 --->
5.
나의서비스 관리로 들어가면 끝
'■ PHP > Study1'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웹호스팅(cafe24) - 참고 (0) | 2020.05.04 |
---|---|
[PHP] 웹호스팅(cafe24) 방법 - 셋번째 (SSH 사용) (0) | 2020.05.04 |
[PHP] 웹호스팅(cafe24) 방법 - 두번째 (파일질라(참고)) (0) | 2020.05.04 |
[PHP] 구조 (Server - Client) 설명 ★ (0) | 2020.05.04 |
[용어정리][PHP] BitNami 사용 이유, 사용법 (0) | 2020.05.04 |